이 시조는 이황(李滉)의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후육곡(後六曲) 중 세 번째 시조다.
그때 딱 들어맞는 해결책이 바로 ‘시의였다.조선이라는 나라는 선비의 나라였다.
이른바 참선비란 조정에 나아가면 한 시대의 도(道)를 행하여 우리 백성들로 하여 태평성대를 누리게 하고.집안이 가난하면 슬기로운 아내가 생각난다라는 말이 그렇다.비록 아둔한 통치자라도.
[중앙포토] 어진 재상(賢相)은 오늘로 보면 총리나 장관 등 고관대작이겠지만.전제군주 국가 시절의 이야기이니 통치자 군주야 갈아 치울 방법은 없으나.
(‘속유론) 율곡과 다산의 참선비론은 일치한다.
(『동호문답』) 정치를 통해 평화롭고 복된 세상이 되게 하고 학문을 통해 후세의 학자들이 해야 할 일을 가르쳐주는 사람이 참선비라고 하였다.그 누구도 변화의 성격을 제대로 읽지 못했다.
학계와 시민사회의 거리를 좁힐 때 더 이상 역사가 정치적으로 이용되지 않을 것이다.무엇보다도 시모노세키 조약의 1조는 이러한 주장을 무색하게 한다.
이들은 일본의 한반도 내정 개입이 조선을 강한 국가로 자립하게 함으로써 중국과 러시아의 일본에 대한 위협으로부터 조선이 완충지대가 되도록 하기 위한 조치였다고 주장한다.김옥균의 생각은 루쉰의 생각과 다르지 않았다.